본문 바로가기
경제

해외서 '완판' 국내선 '금값'... K김밥이 만든 김 수출 新역사

by 이바다leebada 2025. 1. 22.

2024년 한국의 수산식품 수출에서 K김밥의 글로벌 인기 열풍이 새로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김 수출액은 9억97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5.8% 증가했고, 2년 연속 1조원대 수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김은 수산식품 수출 품목 중 1위를 차지하며, 전체 수산식품 수출액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핵심 수출 품목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김 수출 성과와 시장 동향

김 수출의 급격한 성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K김밥의 인기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졌는데,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미국 수출 냉동김밥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2% 증가한 15억9290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에서 냉동김밥 관련 콘텐츠가 바이럴하게 퍼진 영향으로, 미국 현지에서는 김밥 품절 현상까지 발생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수출액 증가가 물량 증가가 아닌 가격 상승에 기인했다는 것입니다. 해수부 수산정책관의 설명에 따르면, 실제 김 수출 물량은 전년 대비 4% 감소했으나, 수요 증가로 인한 단가 상승이 전체 수출액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글로벌 시장 확대와 주요 수출국 현황

수산식품의 주요 수출 대상국 분석 결과, 일본이 6억5900만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이 4억7900만달러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유럽 시장으로의 수출이 2억27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4%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한국 수산식품의 시장 다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러한 성과는 K-food의 글로벌 인지도 상승과 함께, 건강식품으로서의 김의 가치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김밥이 간편하면서도 건강한 식사 대용품으로 인식되면서, 글로벌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수급 안정화 정책과 향후 전망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다각적인 수급 안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 산지 생산량과 가격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외해 시험양식 생산 확대와 기존 양식장의 김 양식장 전환을 허용하는 등 생산 기반 확충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고무적인 것은 최근 물김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하며 작황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향후 수급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K김밥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달성한 2년 연속 1조원대 김 수출 실적은 한국 수산식품의 국제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입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생산기반 확충 정책과 함께, 유럽 등 신규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은 향후 수출 증가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수급 안정화와 품질 관리가 지속적인 과제로 남아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